공대를 졸업하고 예상치 못했던 마케팅 분야의 분석가가 되서음 그래도 인문사회 쪽 공부를 좀 할까 싶어 사회조사분석사를 따야겠다는 결심을 하기도 했고경영/인문대 쪽 출신 분석가 분들이 많이 가진 자격증이라 한번 응시해볼까 하는 마음으로 자격증 준비를 시작했다라고 표현하긴 어려울 것 같다 (따로 공부를 하진 않았으니까)결론적으로 말하면 따로 공부할 필요는 없는 시험인 것 같다. 내가 쓰레기여서 공부를 미리 안한 것도 있지만?시험을 봐야겠다 싶어서 4일 전에 기출문제부터 우선 풀어봤다. 합격 컷이 60점인 시험인데, 내용을 몰라도 읽다보면 내용적으로 추리했을 때답에 도달하는 문제가 많아서 그냥 풀었을 때도 60점은 넘게 되었다.그래도 2회 정도는 틀린 문제들을 어떤 파트를 외워야하는지 대충 읽어보고 갔다.그래..
제 10회 데이터 분석 전문가 자격시험 후기입니다. 현업에서 분석 일을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현업을 데이터 분석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4과목 중 데이터 분석 파트와 ADP 서술형은 아얘 공부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분석 파트를 빼고 그러면 데이터 분석 파트를 제외하고 영역별 난이도를 얘기하면 데이터 처리 기술의 이해 > 데이터 분석 기획 > 데이터 이해 > 데이터 시각화 라고 이야기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시험 체감 난이도 5과목 난이도 ★데이터 시각화 파트도 암기이긴 하지만 내용이 쉽게 이해되는 암기 파트여서 금세 외울 수 있습니다. 1과목 난이도 ★☆데이터 이해 파트도 DIKW 랑 단골 출제되는 파트만 외우면 되기 때문에 금방 준비할 수 있습니다. 3과목 ..